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변에서 여러 가지 모양의 건물이나 물건을 만날 수 있다. 이런 사물들의 색이나 재료, 크기 등의 요소를 제외하고 오로지 모양만을 추상해서 만든 것이 바로 도형이다. 모양만으로 공통된 개념을 추출하여 이상화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평면도형을 배웠다. 이 학습을 바탕으로 초등수학 4학년에는 수직과 평행에 대해 배운다. 사각형의 성질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수직과 평행을 알아보자.

1. 초등수학 사각형의 성질 수직

우리 생활 속에는 도로의 신호등이나 집의 기둥 등은 지면과 수직이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을 도형의 구성요소인 선분이나 직선들의 관계를 설명할 때에도 꼭 필요하다.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각을 이루는데 이 각이 직각인 경우 수직이라고 한다. 직사각형과 평행사변형을 정의할 때 직각으로 두 직선이 만나는 경우 삼각자나 각도기를 사용하여 repair을 그어본다.

2. 초등수학에서 수직 학습 시 주의점

평면 위에서 두 직선의 위치 관계는 서로 만나는 경우와 만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초등수학 사각형에서 정의하는 수직과 평행은 평면 위에서만 정의한 것이고 공간에서 정의한 것이 아니다. 반드시 동일 평면으로 제한을 두고 찾는다. 따라서 입체도형에서 수직인 직선과 평행한 직선을 찾을 때에는 꼬인 위치에 있는 것을 찾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초등4학년 사각형의 수직 그리기

두 직선이 한 평면상에서 만나는 경우 각이 이루어지고 이루어진 각의 크기가 직각일 때 수직이라고 하며 한 직선이 다른 직선에 대한 repair라고 한다. 각도기를 사용하거나 삼각자를 사용하여 수선 긋기를 할 수 있다. 한 straight을 긋고 직각이 있는 삼각자의 변을 겹쳐 놓고 straight을 긋거나 임의의 점을 표시하고 각도기의 중심을 맞추고 밑금을 맞춘다. 그리고 90도가 되는 눈금 위에 점을 찍고 straight를 잇는다.

4. 초등수학 4학년 사각형의 중요한 요소 평행

우리 주위의 사물 중 학교 운동장의 철봉, 기차선로, 수영장의 라인 등은 평행해야 한다. 초등4학년에서 평행선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 것인가 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첫째, 방향이 같은 두 직선은 평행하다. 둘째, 같은 간격의 두 직선은 평행하다. 셋째, 아무리 늘려도 만나지 않는 두 직선은 평행하다이다.

5. 초등학교수학 평행 학습의 주의점

초등학교에서는 두 직선의 동방향성으로 평행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한 straight에 수직인 두 직선을 그었을 때 서로 만나지 않는다라는 성질로 parall과 parallel lines을 정의한다. 그리고 평행선 사이에 수직인 선분의 길이를 평행선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6. 초등수학 여러 가지 사각형의 정의

적어도 한 쌍의 평행한 변을 가진 사각형을 사다리꼴이라고 한다. 한 쌍의 밑각이 합동일 때는 등변 사다리꼴이라고 부른다.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이 서로 평행한 사각형을 평행사변형이라고 한다. 두 쌍의 변이 서로 평행하면서 모든 변이 합동인 parallelogram은 마름모이다. 직각을 가진 parallelogram은 rectangle이며 모든 변이 합동인 직사각형을 정사각형이라고 한다.

반응형
댓글